티스토리 뷰
개의 알레르기
알레르기라는 단어는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매년 봄이면 꽃가루 알레르기로 고민하는 사람이 있을 것입니다. 알레르기, 간단히 말하면 일종의 트러블로 인해 몸의 면역시스템이 자신의 몸을 공격하게 되는 현상입니다.
개 알레르기 원인제거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을 알레르겐이라고 한다. 이 질병은 심각하게 문제시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난치성 알레르기를 깨끗이 낫게 하는 방법은 아직 없습니다. 개 역시 똑같은 증상이 있습니다. 알레르기는 피부, 소화기, 호흡기 등에 염증을 일으키는데, 알레르기가 불러오는 여러 가지 증상 중에서도 문제가 되는 것은 주로 알레르기성 피부염입니다. 알레르기는 여러 가지 요인이 축적되어 발생하므로 알레르기의 원인을 파악하고, 한 가지씩 제거하는 과정에서 염증은 서서히 경감할 것이다. 최근에는 혈액검사로 알레르겐을 규명하는 기술도 발달되었는데 비용 문제뿐만 아니라 신뢰성이 미지수이다. 때문에 나는 주인과 상담하면서 상황에 따라 혈액검사 여부를 결정한다. 개의 알레르기 원인은 크게 주위 환경, 유전개의 품종에 따른 특성이나 특정 혈관 알레르기성이 특히 강하다), 식생활의 세 가지로 나뉘는데, 그중에서도 주위 환경은 다시 공기부유물(꽃가루나 담배연기), 몸에 닿는 것, 정신적인 스트레스의 세 가지 요인으로 나누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들 원인에 대해 주인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기본적으로 의심스러운 것은 철저하게 배제하고 접하는 소재의 종류를 줄인다. 어쩔 수 없이 접한다면 '가능한 씻는다' 정도가 최선이다. 여기서는 특히 주위환경 중에서도 공기부유물과 몸에 닿는 것, 그리고 유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주위환경
- 몸에 닿는 것들
몸의 아랫부분, 사지나 턱 아래가 특히 습진에 걸릴 경우 바닥재나 풀숲과의 접촉을 의심할 수 있다. 밖에서는 아스팔트 길만 걷게 하고 공원이나 하천의 초지에는 들어가지 못하게 합니다. 이렇게만 해도 극적으로 개선되기도 합니다. 문제는 집안 환경입니다. 가정에서 볼 수 있는 물품의 소재는 매우 다양하고 개는 광범위하게 그것들과 접촉을 하게 됩니다. 키우는 개에게서 알레르기 증상을 발견했다면 개가 접촉하는 소재의 범위를 줄여가며 원인을 밝혀본다. 서클을 설치해 행동 범위를 좁히는 방법도 효과적입니다. 방은 깨끗하게 청소하고, 소재는 사람이나 개에게 부드러운 것을 선택한다. 바닥이 마루라면 깨끗이 닦고, 바닥에 까는 것은 피부에 좋은 면직물이나 부드러운 화학섬유 감도 괜찮다. 식기는 스테인리스가 비교적 무난하다. 소재 문제를 제외하면 진드기 알레르기가 많은데, 진드기를 없애려면 진드기가 서식하기 어려운 환경 만들기와 철저한 청소가 중요합니다.
- 공기 부유물
공기 부유물은 대치하기 정말 까다로운 문제입니다. 기온과 습도가 조금만 상승해도 알레르기 증상이 악화되는 개도 많아서 단정하기는 어렵기만, 봄에서 여름에 걸쳐 증상이 악화된다면 꽃가루나 초목과의 접촉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그밖에 마이크로 더스트에 강한 청소기를 사용(종이팩은 최고급품이 아니면 더스트가 젖을 수 있다), 아침 일찍 실내의 부유 먼지가 바닥에 떨어져 있는 것을 살짝 정전기 걸레로 청소하거나 금연 등의 대처가 효과적입니다. 만약 알레르겐이 아니라 해도 실내를 깨끗하게 하는 게 손해도 아니고 자신의 건강에도 좋으니 꼭 실행을 하시길 바랍니다.
유전
유전에 관한 한 달리 방법이 없습니다. 원래 개의 피부는 썩 강하지도 않고, 특히 순종은 오랜 시간에 걸쳐 인간이 좁은 범위에서 교배를 반복해왔기 때문에 알레르기에 약할 뿐만 아니라 매우 민감한 체질입니다. 서양견은 일반적으로 고온다습한 기후에 약합니다. 특히 귀가 젖어 있거나 귀털이 나는 등의 코카스패니얼 같은 견종은 외이염에, 퍼그나 불도그 같은 코가 짧은 단두종(소위 코 짧은 얼굴)은 주름이 많기 때문에 피부염과 밀접합니다.
'강아지 관리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도한 스트레스 개들의 영향 (0) | 2022.04.29 |
---|---|
개 목욕이 필요한가? (0) | 2022.04.27 |
반려견의 행동범위를 한정시킨다. (0) | 2022.04.27 |
반려견들이 발생하는 위험한 이물오식 (0) | 2022.04.26 |
개의 생애와 수명은? (0) | 2022.04.18 |